하나의 기능(function함수)을 만든다고할 때
그 기능을 나중에 원하는대로 변형하여 쓰고 싶을 때 그 변형값을 function에 넣는게 매개변수이고
function 덧셈(매개변수1, 매개변수2){
1 + 매개변수1 + 매개변수2
}
-> 1 + 매개변수1 + 매개변수2 = 함수function의 값
덧셈(3, 5);
-> 9
그걸 활용해서 넣는게 인자(3과 5)인거 같습니다.
매개 : 둘사이의 관계를 맺어줌
변수 : 변하는 수
매개변수 : 둘사이의 관계를 맺어주면서 변하는 수
function에서 결과값에 영향을 주는 변하는 수를 매개변수이고 그걸 function 함수이름(여기 괄호에 넣음)
매개변수를 내가 특정한 숫자나 데이터를 넣으면 그게 인자가 되는거 같아요.
그냥 x + y = ? 라는 함수에 x,y는 매개변수이고
내가 x에 1을 넣고 y에 2를 넣으면 1,2는 인자(구성요소)라고 하는것이고
매개변수에 내가 어떤 인자를 넣냐에 따라서 값이 달라지는 식이 함수라고 보면 될거같아요.